본문 바로가기
지원금

2025 연차수당 계산법 완벽 정리

by 이슈를 파는 여자 2025. 4. 1.
반응형
SMALL

연차수당 계산법부터 공식, 예시, 지급 시기까지 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 퇴사 전 연차수당 정산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버튼을 눌러 확인해보세요.

 

연차수당 계산기 보러가기👆

 

연차수당은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급여 항목 중 하나입니다.
특히 퇴사 직전, 또는 연말 정산 시 누락되면 손해보는 대표적인 금액이 바로 연차수당이죠.

이번 글에서는 연차수당 계산법을 기준 공식부터 실제 계산 예시, 지급 기준까지 전부 알려드릴게요.


1. 연차수당이란?

연차수당은 사용하지 않은 연차휴가에 대해 금전으로 지급하는 수당입니다.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1년간 근속한 근로자는 연차휴가를 사용할 권리가 있으며, 사용하지 않은 연차는 일정 시점 이후 수당으로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2. 연차수당 계산 공식

기본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복사
연차수당 = 1일 통상임금 × 사용하지 않은 연차일수

✔ 통상임금: 기본급 + 고정수당 (식대, 교통비 등 포함 시)
✔ 연차일수: 연간 부여된 연차 중 사용하지 않은 일수

예시

  • 월급: 300만원
  • 주 5일 근무 기준 209시간 → 시급 약 14,354원
  • 1일 통상임금: 14,354원 × 8시간 = 114,832원
  • 미사용 연차 5일이라면 → 114,832 × 5 = 574,160원 (세전)

3. 연차 발생 기준

연차는 아래와 같은 조건에 따라 발생합니다:

  • 1년 미만 근속자: 매달 1일씩 총 11일 (입사 후 매월 개근 시)
  • 1년 이상 근속자: 15일 부여 + 근속 2년마다 1일씩 추가 (최대 25일)

4. 연차수당 지급 시기

  • 매년 1년 단위로 정산: 사용하지 않은 연차는 익년 1월 1일 기준 자동 소멸되며, 수당으로 지급
  • 퇴사 시 지급: 퇴사일까지 미사용 연차를 일괄 정산하여 지급

⚠️ 회사에 따라 지급 시점이나 방식에 차이가 있으므로, 근로계약서 또는 취업규칙 확인이 필요합니다.


5. 연차수당 세금 계산

연차수당도 급여와 동일하게 과세 대상입니다.

  • 세전 금액에서 3대 보험료 + 소득세 + 주민세가 공제됩니다.
  • 일반적으로 연차수당의 실수령액은 약 80~85% 수준

6. 연봉제 직원도 받을 수 있을까?

연봉제의 경우, 연차수당이 연봉에 포함됐다고 명시되어 있다면 별도 지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표기 없이 지급 제외는 위법이므로 꼭 근로계약서 확인이 우선입니다.


7. 연차수당 계산 팁

  • 퇴사 예정자라면 미리 남은 연차를 확인하고 사용 or 수당 선택
  • 중간 입사자, 비정규직, 단시간 근로자는 별도 계산 기준 적용
  • 고정수당 포함 여부에 따라 계산액 차이 큼

마무리 요약

항목설명
계산공식 1일 통상임금 × 미사용 연차일수
지급시점 매년 정산 or 퇴사 시 정산
과세 여부 세금 공제 있음 (실수령액 약 80~85%)
확인 필수 항목 근로계약서 / 연봉 포함 여부 / 잔여 연차 확인

꼭 확인하세요!
놓치기 쉬운 연차수당, 정확하게 계산해서 손해보지 마세요.
👇아래 버튼을 누르면 자동 계산기도 확인할 수 있어요.

 

연차수당 계산기 보러가기👆

반응형
LIST